본문 바로가기
KOSHA GUIDE (H)

교대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수준 평가지침 KOSHA GUIDE H-190-2021

by 포크라운 2022. 11. 11.
반응형

 

교대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수준 평가지침  KOSHA GUIDE H-190-2021

 


2021. 1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관련 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01조 <별표 22>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4] 특수건강진단ㆍ배치전건강진단ㆍ수시건강진단의 검사항목(제206조 관련)
-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2020-산업안전보건연구원-349)
- 교대 작업자의 보건관리지침(KOSHA GUIDE, H-22-2019)

 

 

 

 

1. 목 적


이 지침은 (야간작업 종사 근로자의 특수건강진단)에 의거 야간작업을 포함하는 교대 작업자의 뇌·심혈관계 질환 관리를 위한 작업관리 및 건강관리 수준 평가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이 있는 모든 사업장의 사업주와 보건관리자, 그리고 근로자의 건강관리활동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교대작업”이라 함은 작업자들을 2개 반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시간대에 근무하도록 함으로써 사업장의 전체 작업시간을 늘리는 근로자 작업일정이나 작업조직 방법을 말한다.
  (나) “교대작업자”라 함은 작업일정이 교대작업인 근로자를 말한다.
  (다) “야간작업”이라 함은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 사이의 시간이 포함된 교대작업을 말한다.
  (라) “야간작업자”라 함은 야간 작업시간마다 적어도 3시간 이상 정상적 업무를 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마) “만성질환”라 함은 뇌·심혈관질환(심장질환, 뇌혈관질환)과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질환(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 알레르기질환(천식, 아토피성피부염, 알레르기비염), 기타 주요 만성질환(만성신부전, 만성간질환, 만성폐쇄성질환, 만성호흡기질환, 암) 등의 질환을 말하지만, 이 지침에서는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질환(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으로 한정하여 말한다.

 


(2) 그밖에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이 지침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산업안전보건법, 같은 법 시행령, 같은 법 시행규칙 및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

 

 

 

 


4. 교대 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보건관리


4.1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근무 지원수준 평가


4.1.1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근무 지원수준 평가 배경


(1)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이 만성질환의 발병 및 악화 위험요인임을 인지한다.
(2) 교대작업자의 근무형태 및 근무지원 수준은 사업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다.
(3) 교대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는 교대작업에 관한 근무 지원의 수준이 낮을수록 취약해 진다.
(4) 교대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근무 지원수준의 개선을 고려하여야 한다.

 


4.1.2 근무 지원수준 평가의 목표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근무 지원수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관련 근무지원 수준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4.1.3 근무 지원수준 평가의 내용


(1) 사업장 내 보건관리자, 산업보건의 등 보건관리체계의 수준을 평가한다.
(2) 질환의 경중에 따라 작업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조직의 유연성을 평가한다.
(3) 만성질환자에 대한 사업장 내 교육제공의 수준을 평가한다.
(4) 야간작업자에 대한 휴게시간의 제공, 근무시간의 변경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사내 제도의 수준을 평가한다.

 


4.1.4 근무 지원수준 평가 활용([부록] 참고)


(1) 근무 지원수준 평가지표([부록] 예시 1 참조)를 야간 및 교대작업자, 보건관리자, 관리자, 사업주가 작성한다.
(2) 근무 지원수준 평가 점수를 계산하고 근무 지원수준을 평가한다.
(3) 6개월, 1년 경과 후, 작성한 개선계획의 시행여부를 확인하고, 근무 지원수준을 재평가 한다.
(4) 근무 지원수준이 향상될 수 있게 개선계획의 실천을 독려한다.

 

 

 


4.2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의료 지원수준 평가


4.2.1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 의료 지원수준 평가 배경


(1) 만성질환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들에 대한 의료 지원수준이 사업장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다.
(2) 교대작업자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서는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의 특성을 배려한 의료지원이 있어야 한다.

 


4.2.2 의료 지원수준 평가 목표


의료 지원수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에 의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고, 의료 지원수준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4.2.3 의료 지원수준 평가 방법


(1) 교대작업자 중 만성질환자의 의학적 관리를 담당하는 조직체계의 수준을 평가한다.
(2) 만성질환에 대한 교육지원의 수준을 평가한다.
(3) 혈압, 혈당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시설의 준비정도를 평가한다.
(4) 병원치료를 위한 사업장 지원의 수준을 평가한다.
(5) 안전보건교육에 응급상황 대처 등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4.2.4 의료 지원수준 평가 활용([부록] 참고)


(1) 의료 지원수준 평가지표([부록]예시 2 참조)를 야간 및 교대 작업자, 보건관리자, 관리자, 사업주가 작성한다.
(2) 의료 지원수준 평가 점수를 계산하여, 최저점을 기준으로 의료 지원수준을 평가한다.
(3) 6개월, 1년 경과 후, 작성한 개선계획의 시행여부를 확인하고, 의료 지원수준을 재평가 한다.
(4) 의료 지원수준이 향상될 수 있게 개선계획의 실천을 독려한다.

 

 


4.3 보건관리자는 매년 사업장의 뇌․심혈관계질환의 위험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들에 대한 개인별 추적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그 이행을 평가한다.

 

 

 

 


5. 교대 작업자의 뇌·심혈관질환 위험질환 관리


5.1 교대 작업자의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


5.1.1 교대 작업자의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 배경


(1) 고혈압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의 고혈압 관리수준은 개인의 지식 및 생활습관에 따라 다양하다.
(2) 교대 작업자의 고혈압 관리를 위해서는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의 건강 유해성을 고려한 관리지원이 있어야 한다.

 


5.1.2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의 목표


교대 작업자의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고혈압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들의 고혈압 관리수준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높이고자 한다.

 


5.1.3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방법


(1) 혈압약 처방 및 복용 정도를 평가한다.
(2) 혈압의 기록 정도를 평가한다.
(3) 흡연, 음주, 운동, 식이, 비만, 수면 등 생활습관의 실천 수준을 평가한다.
(4) 업무상 과로에 노출되는 정도를 평가한다.
(5) 합병증 발병에 대한 추적검사의 실시를 평가한다.

 


5.1.4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의 활용([부록] 참고)


(1)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지표([부록]예시 3 참조)를 고혈압이 있는 야간 및 교대 작업자가 작성하게 한다.
(2) 고혈압 관리수준 평가 점수를 계산하여 최저점을 기준으로 고혈압 관리수준을 평가한다.
(3) 6개월, 1년 경과 후,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여부를 확인하고, 고혈압 관리수준을 재평가 한다.
(4) 고혈압 관리수준이 향상될 수 있게 개선계획의 실천을 독려한다.

 

 


5.2 교대작업자의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


5.2.1 교대작업자의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의 배경


(1) 당뇨병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의 당뇨병 관리수준은 개인의 지식 및 생활습관에 따라 다양하다.
(2) 교대작업자의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의 건강 유해성을 고려한 관리지원이 있어야 한다.

 


5.2.2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의 목표


교대작업자의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당뇨병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들의 당뇨병 관리수준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높이고자 한다.

 


5.2.3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의 방법


(1) 당뇨약 처방 및 복용 정도를 평가한다.
(2) 혈당의 자가측정 및 기록 정도를 평가한다.
(3) 흡연, 음주, 운동, 식이, 비만, 수면 등 생활습관의 실천 수준을 평가한다.
(4) 업무상 과로에 노출되는 정도를 평가한다.
(5) 합병증 발병에 대한 추적검사의 실시를 평가한다.

 


5.2.4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의 활용([부록] 참고)


(1)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지표([부록]예시 4 참조)를 당뇨병이 있는 야간 및 교대 작업자가 작성하게 한다.
(2) 당뇨병 관리수준 평가 점수를 계산하여 최저점을 기준으로 당뇨병 관리수준을 평가한다.
(3) 6개월, 1년 경과 후,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여부를 확인하고, 당뇨병 관리수준을 재평가 한다.
(4) 당뇨병 관리수준이 향상될 수 있게 개선계획의 실천을 독려한다.

 

 


5.3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


5.3.1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의 배경


(1)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의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은 개인의 지식 및 생활습관에 따라 다양하다.
(2) 교대 작업자의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해서는 야간작업 및 교대작업의 건강 유해성을 고려한 관리지원이 있어야 한다.

 


5.3.2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의 목표


교대작업자의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교대작업 및 야간작업 근무자들의 이상지질혈증 관리 수준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높이고자 한다.

 


5.3.3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의 방법


(1) 고지혈증약 처방 및 복용 정도를 평가한다.
(2) 흡연, 음주, 운동, 식이, 비만, 수면 등 생활습관의 실천 수준을 평가한다.
(3) 합병증 발병에 대한 추적검사의 실시를 평가한다.

 


5.3.4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의 활용([부록] 참고)


(1)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지표([부록]예시 5 참조)를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야간 및 교대 작업자가 작성하게 한다.
(2)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 평가 점수를 계산하여 최저점을 기준으로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을 평가한다.
(3) 6개월, 1년 경과 후,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을 재평가 한다.
(4) 이상지질혈증 관리수준이 향상될 수 있게 개선계획의 실천을 독려한다.

 

 

반응형

댓글